반응형
매월 100만 원씩 10년 동안 투자하는 방식으로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과 연금저축을 활용한 S&P500 ETF 투자에 대해 원리금균등인출 (30년간 일정 금액 인출)과 원금은 유지하고 수익만 인출 (평생연금방식) 두 가지 방식으로 월 수령 연금을 비교 분석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투자 조건 가정
투자 방법
- 매월 100만 원씩 10년 동안 투자
- 총 투자액: 1억 2,000만 원 (100만 원 × 120개월)
- 연평균 수익률
-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연 6%
- 연금저축을 활용한 S&P500 ETF: 연 10%
- 세금(두조건 동일)
- 연금소득세 5.5% (연금저축 활용 시)
- 투자 기간 : 10년 (120개월)
- 인출 방법 : 원리금균등인출 30년 (360개월), 원금 유지하고 수익만 인출 (평생연금방식)
2. 10년 후 예상 적립금액 계산
1)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연 6%)
- 월 복리 수익률: 6% ÷ 12 = 0.005
- 10년 후 적립금 (복리 계산): 약 1억 5,090만 원
- (연금소득세 5.5% 적용)세금 세후 금액 : 약 1억 4,260만 원
2) 연금저축 내 S&P500 ETF (연 10%)
- 월 복리 수익률: 10% ÷ 12 = 0.008333
- 10년 후 적립금 (복리 계산): 약 2억 5,080만 원
- (연금소득세 5.5% 적용)세금 세후 금액 : 약 2억 3,750만 원
3. 원리금균등인출 (30년간 일정 금액 인출)
원리금균등인출 방식에서는 30년간 매월 일정 금액을 인출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각 투자 방식의 10년 후 세후 적립금을 기준으로 매월 인출되는 금액을 계산합니다.
1)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연 6%)
- 10년 후 세후 적립금: 약 1억 4,260만 원
- 원리금균등방식 계산: 30년 동안 일정 금액 인출 시, 매월 인출 금액은 약 79만 원 (원리금균등 방식)
2) 연금저축 내 S&P500 ETF (연 10%)
- 10년 후 세후 적립금: 약 2억 3,750만 원
- 원리금균등방식 계산: 30년 동안 일정 금액 인출 시, 매월 인출 금액은 약 130만 원 (원리금균등 방식)
4. 원금 유지 + 수익만 인출 (평생연금방식)
원금 유지하고 수익만 인출 방식은 원금을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수익만 인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매년 발생하는 수익을 인출하며, 원금은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수익금만 인출됩니다.
1)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연 6%)
- 10년 후 세후 적립금: 약 1억 4,260만 원
- 연평균 수익률 6%에서 발생하는 연간 수익: 약 856만 원 (1억 4,260만 원의 6% 수익)
- 매월 인출 금액: 약 71만 3천 원 (연간 수익을 월별로 나누어 계산)
2) 연금저축활용 S&P500 ETF (연 10%)
- 10년 후 세후 적립금: 약 2억 3,750만 원
- 연평균 수익률 10%에서 발생하는 연간 수익: 약 2,375만 원 (2억 3,750만 원의 10% 수익)
- 매월 인출 금액: 약 197만 9천 원 (연간 수익을 월로 나누어 계산)
5. 월 수령 연금 비교
1) 원리금균등인출 (30년 동안 일정 금액 인출)
투자 방식 10년 후 세후 적립금을 30년간 매월 인출 금액투자 방식 |
10년 후 세후 적립금 | 30년 동안 매월 인출 금액 |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6%) | 약 1억 4,260만 원 | 약 79만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 (10%) | 약 2억 3,750만 원 | 약 130만 원 |
2) 원금 유지 + 수익만 인출 (평생연금방식)
투자 방식 10년 후 세후 적립금을 수익만 매월 인출 금액투자 방식 | 10년 후 세후 적립금 | 매월 인출 금액 (수익만 인출) |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6%) | 약 1억 4,260만 원 | 약 71만 3천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 (10%) | 약 2억 3,750만 원 | 약 197만 9천 원 |
6. 왜 원금 유지 + 수익만 인출 방식이 더 많은 월 연금을 제공할 수 있을까요?
- 원리금균등인출은 원금과 수익을 합친 금액에서 30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나누어 받는 방식으로 매월 일정 금액을 인출하려면, 원금을 포함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출할 수 있는 금액은 감소하게 됩니다.
- 원금 유지하고 수익만 인출은 원금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매년 발생하는 수익을 기준으로 인출 금액을 계산합니다. 이 방식은 원금이 계속 유지되므로, 매년 발생하는 수익을 그대로 인출하는 방식입니다. 수익률이 높은 경우, 이 방식은 수익을 고스란히 인출하기 때문에, 원리금균등인출보다 월 연금액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7. 결국
원리금균등인출 방식 (30년 동안 일정 금액 인출)
-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6%) : 매월 약 79만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 (10%) : 매월 약 130만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가 더 높은 월 연금을 제공합니다.
원금 유지하면서 수익만 인출 (평생연금방식)
- 글로벌 멀티에셋 자산배분형 (6%): 매월 약 71만 3천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 (10%): 매월 약 197만 9천 원
- 연금저축 내 S&P500 ETF가 원금은 유지하면서 더 높은 수익을 인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금저축 내 S&P500 ETF에 투자하는 방식이 장기적으로 더 높은 월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유리한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