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연기연금으로 얼마나 늘릴 수 있을까?)

어부64 2025. 3. 12. 15:55
반응형

국민연금 연기연금에 관련 이미지

연기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공적 연금제도로,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납부하면 수령 나이에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기연금이란 국민연금 수령 개시 연령(기본적으로 만 63세) 이후에도 연금 수령을 연기하여 연금액을 증가시키는 제도입니다. 최대 5년(만 68세까지) 연기가 가능하며, 연기한 기간만큼 연금액이 추가로 증가하는 그 금액은 얼마나 될가요?

결론 먼저 얘기하면 연기연금 선택하면 1년당 7.2%씩 연금액이 증가하며, 최대 5년 연기 시 총 36%의 연금액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기연금 수령액 증가 표

연기 기간 연금 증가율 예상 연금액 (기본 월 100만 원 기준)
0년 (만 63세) 0% 100만 원
1년 (만 64세) 7.2% 107만 2천 원
2년 (만 65세) 14.4% 114만 4천 원
3년 (만 66세) 21.6% 121만 6천 원
4년 (만 67세) 28.8% 128만 8천 원
5년 (만 68세) 36% 136만 원

즉, 연기연금을 활용하면 매월 받는 연금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연기연금의 장단점

[장점]

  1. 연금액 증가: 연기할수록 연금액이 늘어나므로 노후 자금 운용이 유리해집니다.
  2. 소득이 있는 경우 활용 가능: 연기 기간 동안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추가적인 재정 여유를 가질 수 있습니다.
  3. 노후 대비 강화: 장수 리스크(오래 살수록 연금 부족 가능성)를 대비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건강 상태 고려 필요: 연기한 후 오래 살지 못하면 수령 기간이 짧아져 손해를 볼 수도 있습니다.
  2. 개인별 재정 상황 차이: 연기 기간 동안 소득이 없다면 생활비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추납과 연기연금 활용 전략

  •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추납과 연기연금을 함께 활용하여 노후 연금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추납을 통해 연금 기본액을 올린 후, 연기연금을 선택하면 매월 수령하는 연금액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 본인의 건강 상태, 경제적 여건, 기대수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선택을 해야 합니다.

국민연금 추납과 연기연금은 각각 연금액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추납을 통해 과거 납부하지 못한 기간을 보완하고, 연기연금을 활용하면 더욱 높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의 재정 상황과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적절한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납과 연기연금을 적절히 활용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해 보세요!

 

반응형